1. 모형 설정 및 설문 작성
모형 설정법은 자세히 다루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모형 자체는 해당 연구분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EM의 특성과 관련된 몇 가지 고려사항만을 제시한다.
첫째, SEM은 탐색적 연구보다는 확인적 연구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모형 설정은 충분한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해야한다. 만약 탐색적 연구를 해야 한다면 PLS(Partial Least Square)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또한 반영지표가 아니라 조형지표를 사용해야 할 경우, 표본수가 적은 경우에도 PLS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관측변수(아래 그림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는 하나의 개념(construct, 아래 그림에서 타원으로 표시된 부분)당 3-4개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개념의 수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좋다. 개념의 수가 많아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현실에 대해 최소한의 개념으로 최대한의 설명을 한다는 통계 연구의 기본 원칙에 어긋난다, (2) 필요한 표본수가 늘어난다, (3) 모형의 결과물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된다.
우선 예제로 사용될 모형은 아래와 같으며, [Davis, 1989]가 제시했던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약간 수정한 모델이다.
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PEOU는 사용편의성, PE는 인지된 즐거움, PU는 인지된 유용성, CUI는 지속적사용의도이다.
그리고 각각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표인 설문문항이 작성되어야 하는 데, 이는 탐색적 연구가 아닌 이상 기존 문헌을 통한 충분한 근거 제시가 되어야 한다.

References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3, 1989, pp. 319-340.
Written by Jinwon Hong(홍진원)
Last Updated: 2008.8.2
No comments:
Post a Comment